캄보디아는 계절이 크게 우기와 건기로 나뉜다. 6개 월 동안 비 한 방울 떨어지지 않다가 5월 말경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11월까지 내린다. 요즘은 기후 변화 탓인지 내리는 양상이 조금 달라지고 있지만, 우기에는 대체적으로 매일 30분에서 1시간 정도 세차게 쏟아진다. 하수 시설이 잘 되어 있지 않고 계속 되는 난개발로 인해 도시 곳곳에 있었던 벙(자연 호수)들이 메워지면서 짧은 시간의 폭우에도 도로가 잠겨 통행이 어려운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어느 하루 집으로 돌아가는 저녁 길이었다. 세차게 내리던 비는 언제 그랬냐는 듯 그쳤지만, 여전히 도로 가장 자리는 빗물이 고여있고 사방은 어둑어둑해지고 있었다. ‘모또’라고 불리는 오토바이들이 정체된 도로와 비로 잠긴 곳을 피해 인도로 올라오기도 하고 차 들 사이를 곡예 하듯이 지나고 있었다. 순간 내 눈에 들어온 것은 아주 자그마한 소녀였다. 좁은 인도에 쭈그리고 앉아서 광주리 속 연밥을 초점 없이 바라보고 있었다. 고개를 숙인 채 팔려고 애쓰기조차 하지 않는 예닐곱 살 정도의 아이에게는 너무나 무거운 삶 의 짐이 지워진 것 같았다. 거리에서나 관광지에서 ‘모이 돌라’(1 달러)를 외치며 천연덕스럽게 구걸하는 아이들에게서조차 느끼지 못했던 깊은 애처로움과 안타까움을 느꼈다.
1975년부터 1979년 사이의 폴포트 정권 시절 크메르 루즈에 의해 자행된 대량 학살의 역사를 비껴 간 사람이 있을까 싶다. 직접은 아니어도 부모, 친척, 친구의 가족, 이웃 등등. 누군가의 삶에는 여전히 킬링필드의 흔적이 어떤 형태로든 남아있다. 우 리의 현지어 교사이며 목사인 P도 예외가 아니다. 물론 직접 그 시절을 살았던 것은 아니지만 부모 세대가 겪었던 다양한 풍파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다. 서른을 갓 넘긴 젊은이로 두 아이의 아버지이기도 한 그는 10년 동안 외국인을 대상으로 언어를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우리 단체의 몇몇 한국 선교사들이 그로부터 크마에를 배웠고 우리 부부도 2년 동안 그에게서 언어를 배웠다. 그와의 만남을 통해 단순히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나 전통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유익도 얻었다. 주일이면 P의 집은 예배를 드리는 교회가 된다. 가정교회 성도들은 대부분 청소년과 청년들이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모일 수 없어서 소그룹 모임을 위주로 사역을 하고, 주중에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영어나 수학을 가르치기도 한다. 언어를 가르치며 목회를 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나 P 와 막 시작한 S교회를 주님께서 인도하시고 그 필요를 채워주실 것을 믿음으로 바라본다.
우리 집 근처 골목에는 좋은 이웃들이 많다. 스쳐갈 때 반갑게 인사하고 약간은 쑥스러운 듯 미소 짓는 그들의 모습에서 순수한 마음을 느끼게 된다. 매일 집 앞 골목을 한 시간 정도 걸으며 운동하는 아주머니가 있다. 적어도 일주일에 2~3 번은 길에서 만나게 되는데 항상 밝게 웃으며 인사를 건네는 이웃이다. 지나갈 때마다 영어와 크마에를 섞어서 몇 마디 건네는 툭툭 운전사 아저씨, 망고를 따다가 사진을 찍을 테니 포즈를 취해달라는 부탁에 기꺼이 응하는 남자, 우리 차가 고장으로 멈춰 서자 자기 일처럼 도와주던 사람들 말이다. 이렇게 착한 사람들…… 그리고 프놈펜 남쪽의 쓰레기 매립장 주위에 사는 아이들이 떠오른다. 하루 500대의 트럭이 내다 버리는 쓰 레기 더미에서 삶을 이어가기 위해 쓰레기를 줍는 아이들과 가족들이다. 그곳에 한 학교가 있다. 아이들은 예배하고 공부와 태권도, 기본 위생 수칙을 배우고 아침과 점심을 제공받는다. 섬기는 이들의 가정 방문과 구제는 이곳의 핍박한 삶에 그리스도의 생기를 불어넣는다. 방문하는 사람들이 오면 아이들은 선생님의 질문에 더 크게 대답하고 더 큰 목소리로 찬양한다고 한다. 이들이 그리스도의 사랑 안에서 건강하고 바르게 성장해 나가길 소망해 본다.
글 최미숙